■ 알캡쳐 프로그램 소개
이 프로그램은 일반 PC에서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알캡쳐 다운로드 후 설치해서 실행해서 보면 사용자 입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잘 만들어져 있다. PC를 잘 알지 못하는 초보자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게 아래의 이미지 내용을 보면서 천천히 따라 하면 쉽게 할 수 있다.
■ 알캡쳐 다운로드
https://www.altools.co.kr/download/alcapture.aspx
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구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알캡쳐 다운로드' 키워드를 넣고 검색한다. 물론 네이버, 다음, 줌에서도 다운로드 가능하니 본인이 편한 사이트에 들어가서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사용 브라우저는 크롬 기준으로 하니 이 점을 참고하고 역시 브라우저도 엣지, 네이버 등 편한 것으로 사용하면 된다.
첫 줄의 초록색에 "알캡처 | 공식 다운로드 - 알툴즈" 클릭한다. 그러면 바로 오늘쪽 화면처럼 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알캐쳐 사이트에 접속된다. 주황색 버튼인 설치하기를 누르면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다. 알캡쳐는 (주)이스트소프트에서 만든 회사로 처음에는 알약으로 시작해 지금은 알씨, 알툴즈 등 여러 가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캡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후 실행하면 위 이미지처럼 바로 설치가 진행된다. 첫 화면은 라이선스 약관에 관한 내용이다. 프로그램 설치를 위해 하단에 동의를 클릭하고 그다음 화면에 묻는 질문에 그대로 진행해서 설치한다.
이제 설치가 끝나면 내 컴퓨터 바탕화면에 "알캡쳐" 아이콘이 보인다. 더블클릭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자.
위 이미지는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첫 화면이다. 알캡처는 어떤 기능이 있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방법을 알아보자.
■ PC에서 알캡처(Al Capture) 사용법
알캡쳐를 실행하면 위 이미지처럼 작은 창이 뜨면서 메뉴가 보인다.
① 직접지정 : 어떤 화면에서 마우스 드래그를 사용해 내가 원하는 곳에만 캡처하는 방식이다.
② 창 : 이 기능은 큰 모니터 또는 본체 한대에 여려 모니터 연결되어 있을 경우 사용한다. 예를 들어 큰 모니터에서 브라우저를 여러 개 띄워놓고 볼 대 내가 캡처하고 싶은 브라우저 창만 선택해서 저장할 수 있다.
③ 단위영역 : 보여지는 화면에서 프레임, 부분적으로 캡처하는 기능이지만 잘 사용하지 않는다.
④ 전체화면 : 내가 보고 있는 모니터 전체화면을 캡쳐한다.
⑤ 스크롤 : 어떤 창이 길 때 자동으로 스크롤 되면서 캡처하는 기능이다. 이것은 긴 페이지를 한 이미지로 캡처해서 편리한 기능이다.
⑥ 크기지정 : 내가 원하는 사이즈를 지정해서 캡쳐하는 방식이다.
보통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 순서는 직접지정 > 전체화면 > 스크롤 이렇게 3가지다. 캡처하려는 화면에서 부분적일 때는 직접지정, 전체화면을 캡처해 부분적으로 쪼개거나 편집할 때 사용한다. 스크롤은 한 페이지에서 방대한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저장할 대 사용한다.
■ 알캡쳐 환경설정 4가지
캡처하면 지정된 곳에 자동저장이 되는데 어디에 저장이 되는지 먼저 알아야 캡처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으니 환경설정은 어디서 하고 어떻게 설정하면 좋은지 살펴보자.
환경설정하는 방법은 좀 전에 실행한 알캡쳐 실행창의 제일 오른쪽의 "메뉴" 부분을 클릭하면 4가지가 있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캡쳐 실행창 보기
캡처를 위해 이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알캡처 실행창을 보여줄지 여부를 말한다. 캡처할 때 단축키로 사용하면 자동저장되기 때문에 실행창 화면이 필요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2) 자동 복사
저장된 화면이 자동으로 클립보드에 복사된다. 클립보드란 복사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보관한 것을 말한다.
3) 자동 저장
캡쳐한 화면을 자동으로 내 PC에 저장할지 묻는 옵션이다.
4) 환경설정
아래 이미지를 보면 이 설정에 탭이 4가지 있고 각각 탭에서 어떤 설정이 있는지 보자.
● 탭1, 일반설정
- 기본설정
① 알캡처 실행 시 화면 오버레이 표시 : 실행할 때 캡쳐한다는 표시를 하기 위해 화면 전체가 회색으로 바뀐다.
② 캡처 실행창 숨김(마우스 우클릭으로 대체) : 매일매일 사용한다면 단축키로 대체할 수 있다.
③ 캡처 후 저장창 바로 띄우기 : 이 기능은 캡처 후 저장할 폴더를 바로 보여준다. 바로 위에 언급한 3)번에서 "자동 저장" 설정이 되어 있다면 "캡처 후 저장창 바로 띄우기"를 체크하면 자동저장 설정 기능이 비활성화, 즉 자동으로 저장되는 기능이 해지된다. 이 기능은 캡처 후 저장할 장소를 지정 없이 여기저기 임의로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④ Windows 시작 시 자동실행 : 매일 사용자라면 체크하고 가끔 사용한다면 해지한다.
- 캡처설정
① 캡처 후 결과창 띄우지 않기 : 캡처한 화면(결과창)을 바로 보고 싶다면 체크한다.
② 캡쳐한 내용을 항상 클립보드로 복사 : 캡처 후 결과 결과창을 띄우지 않으려면 이 옵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③ 캡쳐 이미지 저장완료 안내창 띄우기 : 이 기능은 체크하나 안 하나 캡처하면 안내창을 나오기에 의미 없는 옵션이다.
④ 캡쳐할 때 마우스 커서 포함(스크롤 캡처는 지원하지 않음) : 이 옵션도 가끔 유용한 기능으로 캡처할 화면에서 내 마우스를 사용할 때 움직이는 화살표도 함께 캡처한다는 뜻이다.
● 탭2, 고급설정
① 파일 포맷 : 저장 포맷을 어떤 형식으로 할지 선택하는 옵션이다. 주로 사용하는 포맷은 jpg, png, gif이다.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 사진은 jpg로 그래픽이미지는 png 포맷으로 저장해 사용하는데 이때 용량은 png가 jpg보다 용량이 2배 이상 크다. 하지만 알캡처에서 사용하면 jpg보다 png 파일용량이 2배 이상 적으니 이점 참고한다. 화질은 비슷한데 용량 파일이 적다는 말은 웹페이지에 이미지를 올렸을 때 더 빨리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다는 말이다.
② 파일명 : 기본적으로 날짜+시분초가 붙는데 이것을 다른 이름으로 바꿀 때 사용한다.
③ 자동저장 설정 사용의 저장 위치 : 자신이 원하는 저장위치를 정해준다.
④ 크기저장 캡처 프리셋 설정 : 알캡처 실행창에서 "크기 지정"해서 캡처하고 싶은 경우 가로, 세로 사이즈를 6개까지 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 탭3, 단축키 설정
① Print Screen 키 사용 : 본인의 키보드에서 오른쪽 위로 보면 "Prt Sc" 버튼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Print Screen을 말하며 알캡처 실행하기 전 이 버튼을 눌러서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그림판, 포토샵 등등)에서 새창 띄우고 붙여 넣기 하면
② 캡처 단축키 설정 : 게임을 자주하다 보면 마우스와 단축키로 사용하는 것처럼 캡처할 때도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단축키를 알고 있으면 편리하다. 그리고 알캡처에서 정해진 단축키를 사용할 때 불편할 경우 자신이 원하는 버튼으로 조정할 수 있다.
● 탭4, 캡처목록 설정
; 자주사용하지 않는 기능이므로 지나가도 좋다.
알캡처 프로그램에 대해 다운로드, 설치 및 내 PC에서 사용하는 방법까지 알아봤다.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인 포토샵을 실행해 놓고 알캡처를 사용할 때 단축키가 중복되어 불편할 때 있다. 하지만 그것 말고 사용할 때는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