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필기시험 과목은 국사, 관광자원해설, 관광법규, 관광학개론 4과목이다. 시험 점수는 총 합해서 6할(60점), 난이도가 낮게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1년에 한 번 시험이 있으므로 우습게 본다면 1년을 또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공부할 때 방심하지 않기 위해 목표 점수를 75점이나 80점 정도로 조금 높게 잡아서 공부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필기시험 시간, 과목당 점수와 계산하는 방법과 그동안 얼마나 합격률이 됐는지 함께 알아보자.

■ 시험 과목 및 시간
교시 | 과목 | 시험시간 |
1 | 국사 | 9:30 ~ 10:50 |
관광자원해설 | ||
2 | 관광법규 | 10:50 ~ 11:40 |
관광학개론 |
시험은 1교시, 2교시로 나뉜다. 1교시는 국사, 관광자원해설이고 2교시는 관광법규, 관광학개론이다. 시험 시간은 1교시는 오전 9:30 ~ 10:20분까지, 2교시는 오전 10:50 ~ 11:40분까지로 각각 50분 시간을 준다. 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과목당 25문항 문제가 주어진다.
한 교시에 2과목은 50문항이고 시험 시간은 50분이니 한 문제당 1분 안에 풀어야 한다. 하지만 컴퓨터 사인펜으로 답안지에 체크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이 시간을 넉넉 잡아 10분 잡는다면 50문항 문제를 40분 안에 풀어야 한다. 이것을 1문 제당으로 나누면 대략 45초 내외 정도 풀어야 한다.
필자가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볼 때 어떤 사람은 종이 울렸지만 답안지를 서둘러 컴퓨터 사인펜으로 체크하는 사람이 있었다. 필기시험 장안에는 부정 시험을 막기 위해서 매우 엄격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종 울리면 두 손을 책상 아래로 내려놓아야 한다. 공부 열심히 했는데 혹여라도 마지막에 체크하는 일로 망치는 시험이 되지 않기 위해서 위에 언급한 것처럼 시험 시간에 자신이 한 문제당 얼마 동안 풀어야 하는지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 그래서 어려운 문제는 연필로 체크해서 일단 넘어가고 쉬운 문제 쭉쭉 문제를 풀어 나가고 남은 시간에 풀지 못했던 문제를 풀어 나간다.
정해진 시간 안에 풀 수 있도록 연습문제를 통해서 연습한다. 하지만 처음에는 일단 이론과 관련된 연습문제를 공부하면서 이론 공부가 끝난 이후 속도를 맞추는 연습을 한다.
■ 각 과목별 배점 점수 비율
교시 | 과목 | 비율(점수) |
1 | 국사 | 40% |
관광자원해설 | 20% | |
2 | 관광법규 | 20% |
관광학개론 | 20% |
합격 점수는 4과목 합해서 60(60%, 6할)점이지만 각 과목당 기본점수 40점(10문항)은 넘어야 하며 안될 경우 과락으로 떨어진다. 4과목 똑같이 25문항 문제를 풀지만 다른 과목 비해 국사만 점수 비율 40%로 높다. 나머지 과목은 20%씩만 해당한다.
각각 과목은 25문항이니 과목별 몇 점 이상을 맞아야 합격하는지 구체적으로 보고 계산은 보기 편하게 점수로 한다.
예) 영희의 필기시험 결과
과목 | 점수 | 문항수 | 배점 | 맞은 문항수 | 점수 계산 |
국사 | 40점 | 25 | 1.6 | 20 | 32 |
관광자원해설 | 20점 | 25 | 0.8 | 10 | 8 |
관광법규 | 20점 | 25 | 0.8 | 20 | 16 |
관광학개론 | 20점 | 25 | 0.8 | 15 | 12 |
합계 | 100점 | 100문항 | 65개 | 68점 |
가상의 인물 영희는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점수 68점으로 다행히 합격했다.
점수 계산하는 방법이 가장 헷갈려하는데 아래와 같이 계산하면 간단하다.
과목 : 맞은 문항수 x 배점 = 점수
▶ 영희 필기시험
- 국사 : 20 x 1.6 = 32점
- 관광자원해설 : 10 x 0.8 = 8점
- 관광법규 : 20 x 0.8 = 16점
- 관광학개론 : 15 x 0.8 = 12점
방금 전에 언급한 각 과목별 기본 점수를 넘겨야 한다고 말했다. 각 과목별 기본 점수는 10문항 이상을 맞으면 된다. 영희가 본시험 과목 중 관광자원해설의 맞은 문항수를 보면 10문항으로 다행히 기본 점수는 넘겼다. 만약 총합계가 60점을 넘겼다 하더라도 한 과목을 10개 밑으로 맞았다면 시험에서는 떨어진다는 점 유의한다.
■ 국사 점수가 높은 이유
왜 국사 점수가 높은지 이유를 대략 알 것이다. 한국 역사를 잘 알아야 외국인에게 한국 역사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현장에서 보면 더 뚜렷하게 느낀다. 자격증 없이 일하는 사람들을 많이 봤었다. 불법 가이드는 외국인이 한국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예를 들어 역사를 모르면 가이드 역할 의미가 없고 자격증도 의미가 없다. 경복궁이 자금성보다 100년 정도 앞서서 만들어진 궁인데 어떤 불법 가이드는 자금성을 본떠 만든 것이 경복궁이라고 말하면서 한국문화가 중국문화보다 낮다는 뉘앙스로 말하는 사람이 있었다. 한국인은 이것을 들으면 어처구니없다.
한국 문화가 세계적으로 알려지고 있으니까 최근 뉴스에서 김, 한복, 갓 등 중국인들이 은근히 슬 적 자기의 문화라고 여기고 있다. 앞으로도 K팝, K드라마 등 한국 문화가 더 인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중국의 이런 행동은 더 심할 것이다. 그래서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준비하면서 역사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이유를 잘 알면 스스로 공부를 열심히 하게 되고 차후에 외국인에게 한국문화를 소개할 때 자랑스럽게 잘 말할 수 있다. 그냥 필기시험 준비하면 나태해질 수 있으니 이런 배경이 있으면 더욱더 분발하게 된다. 나머지 과목도 마찬가지로 관광 일과 연관이 되어 있다.

■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합격률
구분 | 2015년 | 2016 | 2017 | 2018 | 2019 |
대상 | 14,680 | 12,171 | 5,231 | 4,027 | 3,993 |
응시 | 13,096 | 10,575 | 4,276 | 3,356 | 3,206 |
응시율(%) | 89.2% | 86.9% | 81.7% | 83.3% | 80,3% |
합격 | 3,481 | 3,046 | 2,144 | 1,503 | 1,890 |
합격율(%) | 27.0% | 28.8% | 50.1% | 44,8% | 58.9% |
제일 왼쪽에 있는 2015년과 제일 오른쪽에 있는 2019년 응시율, 합격률 내용이 확연이 다르다. 이때 사드 사건 이전으로 많은 조선 동포들이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을 따기 위해 필기시험을 봤고 이때 당시 열풍이었다. 그래서 2015년에 필기시험이 어려웠던 것이 아니라 응시생은 많은데 합격율이 현저히 낮은 이유는 조선 동포들이 한국말은 할 줄 아는데 필기시험 보기에 어렵게 느꼈던 것이다. 그리고 2016년 7월에 경북 상주에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중국은 한국에게 관광 금지, 문화교류 금지 등 한한령 보복조치가 내려져 2017년부터는 중국어 시험 보는 응시생들이 현저히 감소해 전체 응시율이 낮아졌다.
2019년 응시생 중에서 합격률은 58.9%로 거의 60%이다. 높게 보이지 않는 커트라인 60점 일지라도 난이도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합격률이 조금 달라지곤 하지만 보통 수준 정도로 합격한다.
관광 가이드하려면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이 필요하므로 이에 필요한 필기시험 과목, 각각에 해당하는 점수 계산 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합격률이 평균 정도라는 점도 봤다. 어떤 사람은 관광통역안내사 점수 계산 방법을 처음 접해서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 부분을 확실하게 이해가 될 때까지 여러 번 반복해서 보고 기본 커트라인, 합격 커트라인 점수를 잘 인지해서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없길 빈다.
※ 도움되는 포스팅
자신이 원하는 목표 달성하는 방법 3가지
목표는 유형과 무형이 있다. 유형은 돈, 사람 돕기, 시험 등이 있고 무형은 담배 끊기, 술 줄이기 등 여러 가지 있다. 대체로 우리가 목표라고 말하는 것은 유형 쪽에 가까운 것을 말한다. 무형에
doisong.tistory.com
인생/삶을 재미있게 사는법 4가지
일하면서 어느 날 자신이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생활 패턴을 발견하거나 삶이 지루함을 느낄 때가 있다. 그럴 때 삶의 변화를 주거나 원하는 목표를 가지면 인생을 재미있게 살 수 있다. 그런데
doisong.tistory.com
행복하게 사는방법 5가지 - 내가 원하는 대로 살기
사람은 행복하기 위해 산다고 하는데 막상 "당신의 행복은 무엇인가요?"라고 물어보면 말문이 막히거나 답변이 "가족들과 사는 것이요, 돈 많이 있으면 좋겠어요"라고 들으면 느낌이 오지 않고
doiso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