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8

친구, 가족, 연인, 형제간 돈 거래 어떻하지? 학교 다닐 때 아주 친했던 친구가 사회 나오서 돈을 빌려달라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안 빌러 주면 친구가 속상할 것 가고 빌러 주자니 나에게도 돈이 별로 없다. 반대로 나에게 돈은 좀 있지만 돈 빌러 주면 받지 못할 것 같아 고민하게 되다. 친구, 가족, 연인, 형제간 돈거래는 했을 때 필자의 경험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소개한다. 친한 관계에서 돈을 빌러 간 사람이 분명 아쉽고, 급해서 돈을 빌러 갔는데 잘 갚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사람은 화장실 들어갈 때 하고 나올 때가 확실히 다르다. 너무 급한 마음에 화장실 더러운 것 모르고 사용했는데 나올 때는 사용한 고마움은 잊어버리고 더럽다고 불평한다. 돈을 빌러 간 사람은 돈을 빌러 잘 사용했지만 시간이 흐르면 고마움을 잊어버리고 돈을 갚으려니 .. 2021. 4. 20.
목표과 목적의 차이점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겠다"라는 말은 목표이고 "공무원이 돼서 시민이 겪는 생활 불편함을 개선하고 싶다"는 목적이 된다. 이렇게 목표는 눈에 확실하게 보이고 구체적이지만 목적은 구체적인 아닌 추상적이고 두리뭉실하고 나를 현재 세상에 더 나은 환경을 개선해 보겠다는 존재로 보는 것인데 목표과 목적의 차이점을 더 알아보자. 공무원이 되는 것이 목표로 이뤄진 집단은 자신의 월급 걱정 없이 살고 자신의 가정에는 좋지만 시민의 생활 개선이 될 수 없다. 많은 젊은 사람들이 대기업에 들어가는 것을 원한다. 대기업 들어가는 것으로만 목표를 삼는다면 대기업 들어가서는 능력 발휘보다 유지하는데 노력할 것이다. 서울대 안에 있는 국제백신연구소는 개발도상국의 호흡기 감염, 홍역 등 어린이들의 사망과 장애를 줄이고 건강 수준.. 2021. 4. 20.
자신이 원하는 목표 달성하는 방법 3가지 목표는 유형과 무형이 있다. 유형은 돈, 사람 돕기, 시험 등이 있고 무형은 담배 끊기, 술 줄이기 등 여러 가지 있다. 대체로 우리가 목표라고 말하는 것은 유형 쪽에 가까운 것을 말한다. 무형에서 담배 끊기, 술 줄이기 등 이런 다짐은 자신의 몸에서 어느 정도 조금 심각한 것을 느꼈을 때 고치게 되는데 두렵거나 마음속 깊이 뭔가 깨우칠 때 습관이 바뀌게 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유형 쪽으로 자신이 원하는 꿈, 목표를 이루는 방법을 소개한다. ■ 목표 달성하는 방법 3가지 1. 자신이 할 수 있는 목표를 정한다. 너무 높게 잡으면 자신감이 상실돼 일찍 포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내년까지 집을 산다든지 1년 안에 외국어를 마스터한다든지 이런 터무니없이 너무 높게 목표를 정하면 도달할 수 없을 뿐만 아니.. 2021. 4. 20.
친구/지인 같이 동업, 사업 잘하는 방법 자금이 넉넉하다면 사업자등록증을 본인으로 하고, 직원을 뽑으면 된다. 하지만 친구, 지인 친한 관계가 같이 일한 배경은 자금이 넉넉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자금은 넉넉하지 않지만 둘이 같이 열심히 해서 돈을 벌자는 것이다. 이 또한 인생을 살면서 이런 관계와 같이 일한다는 것은 삶을 더 풍성하게 만드는 기회이다. 필자는 일반 회사에서 동료와 같이 일하는 시간보다 친구, 지인과 함께 일한 시간이 더 기억에 많이 남는다. 일단 이 글을 보고 있는 분이라면 본인이 친구, 지인과 함께 사업을 진행하는 중이거나 같이 일하는 지인 갈등으로 인해 이 글을 볼 확률이 높다. 그러면 친구, 지인과 같이 일할 때 어떤 방법으로 일 하면 더 성공적 일지 하나하나 살펴보자. ■ 친구, 지인 같이 동업, 사업 잘하는 방법 1... 2021. 4. 20.
대화 잘하는 방법 3가지 - 대화는 소통, 관심이다 보통 "대화 잘하고 싶다"와 "말을 잘하고 싶다"는 다르다. 지난 포스팅에 말 잘하는 법 5가지를 소개했다. 말 잘하는 것은 상대방에게 설명, 설득이고 대화는 상대방과 나와의 커뮤니케이션, 즉 '소통'이다. 소통이란 "막히지 않고 잘 통하다"는 뜻으로 '소통을 잘한다'라는 말은 상대방과 내가 대화할 때 한쪽으로 기울이지 않고 서로 잘 통한다는 말이다. 서로가 잘 통한다는 느낌을 받으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대화를 많이 한다. 하지만 대화를 많이 하지 않고 아주 짧게 하더라도 소통은 잘 될 수 있다. 한쪽은 말 많이 하고 한쪽은 듣기만 하면 그 관계는 오래가지 못할 뿐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그 자리는 기억에도 남지 않는다. 친구, 동료, 가족들과 소통을 잘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에게 관심을 갖는 것이고 그것으.. 2021. 4. 19.
통찰력, 지혜를 얻는 과정 3가지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신의 분야에 전문가가 되고 싶어 한다. 이것을 다른 말로 그 분야에 지혜, 통찰력을 얻고 싶어 한다. 사람들은 지혜는 지식과 헷갈려하고 자신의 관심 분야의 지식을 많이 알면 지혜가 생기고 통찰력까지 얻는다고 말한다. 어떻게 하면 이것을 얻을 수 있을까? 이런 부분을 법률스님이 잘 설명해 주셨다. 개인적으로 많이 와 닿아 이것에 관심 있는 분에게 소해한다. 통찰력이란 사진적 의미로는 사물이나 현상을 통찰하는 능력을 말한다. 하지만 법률스님은 이것을 너무나도 쉽게 설명해 주셨다. ■ 통찰력과 지혜를 얻는 과정 3가지 법률스님은 통찰력이란 전모가 확 보이는 것이 통찰력이고 이것을 지혜라고도 말씀하셨다. 1. 자발적으로 자기로부터 궁금증이 출발한다. 부처님이 어릴 때 새가 벌레를 쪼아 먹는 .. 2021. 4. 19.